Python/공부-ing

[Python]자료구조: 데이터와 변수

ari950505 2021. 12. 12. 18:25

 

 

파이썬 shell 모드와 코드 편집기 모드의 차이점

- python shell 은 간단한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 사용.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하진 못함. 간단한 테스트 시 사용 가능.

- 코드 편집기는 개발에 필요한 코드 작성, 디버깅, 실행 등을 위한 툴을 말하는 것.

  ->코딩 툴.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만드는 전용 툴. 파일을 저장하고 실행.

 

파이썬의 특징

- 무한한 정수값 처리 (실수는 17~18번째에서 손실됨.)

- 고수준 언어(high-level programming language)

- 동적타이핑(Dynamic Typing)을 지원

- 인터프리터(interpreter) 언어

 

변수 선언시 자동으로 데이터 타입을 할당하는 기능을 뜻하는 용어

- 동적타이핑

 

컴파일러

- 컴파일러는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바꿔주는 번역 프로그램.

 

인터프린터

- 인터프린터 : 컴파일이랑 비슷하지만, 컴파일러와 달리 실행 파일을 만들지 않고 실행이 필요할 때 기계어로 변환함.

 

컴파일러와 인터프린터의 차이:

 

- 컴파일 언어는 소스 전체를 실행 파일로 만든 후 기계에서 실행 -> 번역과 같음. (c/c++, java)

인터프린터 언어는 필요한 소스 코드만 그때 그때 실행함.-> 동시 통역과 같음. (python)

 

변수를 사용하는 이유:

- 변수는 주로 데이터를 재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, 프로그램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.

 

자료형(Data type)이란?

-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서 데이터를 정수형, 실수형, 문자열형, 논리형으로 구분한 것. (데이터 타입에 따른 메모리 크기 결정.->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.)

 

정수와 실수

- 정수는 메모리가 허용되는 한 무한 사용 가능.

- 실수는 대략 소수점 이하 17~18번째에서 데이터 손실이 일어남.

 

논리형 boolean

- True =1 , False = 0